최근 민주당이 가상자산 과세 공제한도를 5000만 원으로 상향하는 방안을 오는 2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서 처리하기로 결정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가상자산 투자자들이 긴장과 기대를 동시에 갖고 있는 상황입니다.
가상자산에 대한 과세는 이미 여러 차례 연기되었지만, 내년 1월부터 본격 시행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이번 논의는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가상자산 과세안의 주요 내용
- 공제 상향 조정: 기존 250만 원에서 5000만 원으로 공제 한도가 확대됩니다. 이로 인해 소수의 '큰손' 투자자를 제외한 대부분의 투자자는 사실상 과세 대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큽니다.
- 취득가액 확인 어려움에 따른 대안: 가상자산의 취득가액 확인이 어려운 경우 양도가액의 50%를 기준으로 세금을 매길 수 있는 조항도 신설됩니다.
- 유예안과의 갈등: 정부가 추진한 과세 유예안을 민주당은 수용하지 않고, 공제 상향을 통해 가상자산 투자자들에게 일정 부분 회유책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투자자들에게 미치는 영향
- 과세 부담 경감 가능성: 공제 상향으로 인해 과세 대상이 되는 비트코인 투자자의 수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수익이 5000만 원 미만인 경우 실질적인 과세 부담을 덜어낼 수 있어 시장 내 일부 긍정적인 영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시장 심리: 가상자산 과세가 본격화될 경우, 일부 투자자들은 세금 부담을 우려하여 투자금을 조정하거나 포트폴리오를 변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큰손 투자자들은 세금 절감을 위한 대응 방안을 고려할 것입니다.
- 장기적 영향: 과세가 시행되더라도 대다수 투자자들에게 실질적인 부담이 적다면 비트코인 및 가상자산 시장의 활성화와 안정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여전히 정부와 민주당의 정책 방향이 완전히 확정된 것은 아니므로 유연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투자자 대응 방안
- 장기 투자 계획 수립: 공제 상향으로 과세 부담이 완화될 수 있는 만큼,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의 장기 투자 전략을 검토할 시점입니다. 공제 한도 내에서 전략적인 매매 계획을 세워야 할 것입니다.
- 정책 변화 모니터링: 여당과 민주당 간 협상이 지속되고 있으며, 정책이 변동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해 꾸준히 정보를 수집하고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투자 리스크 관리: 가상자산의 과세와 관련된 법적 변동은 투자 리스크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리스크 관리 전략을 강화하고, 필요시 세금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대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결론적으로, 비트코인 투자자들에게 이번 가상자산 과세는 정말 악재로 다가올수가 있습니다.
언제는 사기라고 해놓고선 이제는 세금을 내라고 한다니..
그리고 시장을 봤을때도 지금 비트코인 빼고 모든 코인이 폭락중인데 세금내라고 하면 누가 좋아할까요..
가상자산 과세는 세수에 전혀 도움도 안됩니다. 영향도 미비하고요. 이렇게 된다면 일선 공무원들과 투자자들만 죽어가는것 같습니다.
[과세유예 청원 링크] petitions.assembly.go.kr/proce…
[과세유예 전화하기] 코인 과세 유예 항의전화 방법
1. 1577-7667 전화
2. 3번 누름
3. 삐 소리 울리면 "코인과세 유예하세요 안그러면 민주당 다시 안 뽑는다" 등 이야기
4. 우물정( # ) 누르고 통화 종료
다들 이번에는 한마음 한 뜻으로 청원을 넣어야 할 때입니다.
[YTA]Y 비트코인 트레이딩 아카데미
투자, 주로 비트코인을 다루는 트레이더Y의 투자 전략노트 채널입니다. 실시간 트레이딩 24시간 방송 진행하고 있으니 오셔서 의견공유및 소통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비복스(구 비트비너스)
t.me